01 놓지만 마라, 잡고만 있어,
라고 꼭 작년 이때쯤 선배가 해준 말, 잊지 않고 있어요. 우리 학부 때도 친하질 않았는데
사실은 얼굴도 표정도 말투도 너무 무서워서 말도 못 붙인 선배였었는데, 그런 말 해주셔서 감사했어요.
네, 놓지는 않고 있어요. 대체 언제 공부할래, 당장 복학 안해? 버럭하실 것 같아서,
전화는 도저히 못 받겠습니다. 그 책 잠깐 봤어요. 정확히는 선배가 쓴 부분만.
그리고 솔직히, 그 책에서 좋은 건 이 부분 뿐이었어요.
"모든 사물은 '외로움'을 수식할 수 있다.
개 같은 외로움, 궁서체 같은 외로움,
대통령 같은 외로움, 예수, 석가, 공자, 칸트 같은 외로움,
한반도 같은, 지구 같은, 명왕성 같은 외로움
내가 명왕성을 인식할 때 명왕성은 넓고 포근한 우주에서 홀로 뜯어져 나와야 한다.
외로움은 사물의 운명이기보다는, 사물을 홀로 서게 하는 인식의 운명이다.
낚시바늘에 어떤 물고기가 걸리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낚시바늘 자체가 문제시 되는 것이다.
인식하지 않고는 어떤 사물도 구별할 수 없기에, 외로움의 반대말은 없다.
그래서 나는 외로울 때마다 이렇게 되뇌인다. 나는 안 외롭다."
이강하 ‡ <그리운 詩, 여행에서 만나다> 바람의 속도로 길을 걷다 中
02 울음은 어디에서 오는가, 불이 들어가서 태우는 몸
네 사랑이 너를 탈출하지 못하는 첨단의 눈시울이
돌연 젖는다, 나는 철벽처럼 어두워져
아, 불은 저렇게 우는구나, 생각한다
사랑 앞에서 죄인을 면할 길이 있으랴만
얼굴을 감싸 쥔 몸은 기실 순결하고 드높은 영혼의 성채
울어야 할 때 울고 타야 할 때 타는 떳떳한 파산
그 불 속으로 나는 걸어 들어갈 수 없다
사랑이 아니므로, 나는 함께 벌 받을 자격이 없다
원인이기는 하되 해결을 모르는 불구로서
그 진흙 몸의 과열 껴안지 못했던 것
네 울음을 없었던 것으로 만들기 위해서라면
나는 소용돌이치는 불길에 손 적실 의향이 있지만
그것은 모독이리라, 모독이 아니라 해도, 이 어지러움으론
어느 울음도 진화(鎭火)하지 못하리라, 그러므로 나는
사랑보다 더 깊고 무서운 짐승이 올라오기 전에
피신할 것이다 아니, 피신하지 않을 것이다 아니,
제자리에 가만히 멈춰 있을 것이다
네가 단풍처럼 기차에 실려 떠나는 동안 연착하듯
짧아진 가을이 올해는 조금 더디게 지나가는 것일 뿐이리라
첫눈이 최선을 다해 당겨서 오는 강원도 하늘 아래
새로 난 빙판길을 골똘히 깡충거리며
점점 짙어가는 눈발 속에 불길은 서서히 냉장되는 것이리라
만병의 근원이고 만병의 약인 시간의 찬 손만이 오래
만져주고 갔음을 네가 기억해낼 때까지,
한 불구자를 시간 속에서 다 눌러 죽일 때까지
나는 한사코 선량해질 것이다
너는 한사코 평온해져야 한다
이영광 ‡ 사랑의 미안
03 풀밭 위의 식사를 샀다.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도 샀다. 이 두권때문에 잔뜩 들떴었는데 집에 와서 한 짓이란,
5회나 못봤던 파스타를 가슴 졸이며 보는 거였다. 그가 묻는다. 그렇게 재밌어? 이선균이 글케 좋아?
응 재밌어! 좋아! 소리만 벅벅 질르는데, 그래도 너무 좋아. 뱉어놓고 아차 싶은.
댓글을 달아 주세요
사진은 언제나 좋고.
글도 좋네요. ^^
넓고 따스한 마음으로
보아주시니까요..
기쁘고 감사하고 그래요. :)
물에 비친 풍경이 늘 슬픈 것은 풍경이 눈물을 닮아서인지 거꾸로 라서인지 잘모르겠습니다.
저기 두사람은 이제 다른 곳을 바라보고 있네요.
현실이기도 하고, 아니기도 하니까요.
반영사진을 보면 늘 슬픈 꿈을 꾼 것같은 기분이 듭니다.
물속의 세계와 물밖의 세계만이 다르다고 생각했는데
네, 저 두사람도, 그렇네요.
낡아빠진 노래가 생각나네요.
나는 아직 두 진실이 때때로 충돌합니다.
외부의 언어로 말하고 싶네요
그것은 어떤 노래였을까요..
이렇게 많은 층위의 진실들이 존재하는데
진실인 것과 진실 아닌 것을 구분하려던 것이
얼마나 어리석은 일이었나를, 생각합니다.
진실과 거짓의 분별은 무의미한 것
오직 진리 만이 유일할 뿐 ^^
예쁘네요
하나가 옳다고 판단되는 순간
그 외의 것은 모두가 그른 것이 돼버리는 상황이
참 슬픕니다. 그럼에도
이 사진을 예쁘게 보아주셔서 기쁘네요.
방문 감사해요 :)
선불교 공부하시나요~?
한방 맞았군요.ㅎㅎ
공부는 해본적 없습니다만,
제 사상이 그쪽에 가깝나요? :)
그건 동전의 양면과도 같은 것이다라는 댓글을 달려고 했는데 글을 쓰다가 생각해보니 그건 동전의 양면이 아니라 한면에 같이 존재하는 것이 더 맞겠단 생각이 드네요
댓글을 읽으며
한면만을 가진 동전이 존재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그럴 수는 없겠지만요..
이걸 쓸 때의 제 마음을 이해해주신 것 같아서,
고맙습니다. 위소보루님 :)